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신호철의 시가 있는 풍경] 기적

‘The secret dare to dream’이라는 영화 한편을 보았다. “There are only two way to live your life. One is as though nothing is a miracle. The other is as though everything is …”라는 자막으로 시작되는 영화. 이어지는 단어는 a miracle임에 틀림없음에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누구나 기적 같은 삶을 꿈꾸어본 적 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기에. 그럼에도 매일 다가오는 평범한 일상의 모습 속에서 다람쥐 쳇바퀴 돌듯 무미건조한 삶을 살아가기가 일수인 우리에게 잔잔한 교훈을 주는 영화였다. 〈〈〈기적은 거짓 없는 따뜻한 마음과 이웃을 향한 긍휼한 마음으로부터 시작된다. 지나쳐 버릴 수 있는 일상을 사랑의 마음으로 돕고 자신을 희생할 때 어려움에 빠진 한 가족을 아름답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훈훈한 스토리였다.〉〉〉   대부분 처음 몇 장면을 보면 뒤에 전개될 내용들이 어렴풋이 읽혀지기에 다음 장면으로 이어지기 전에 영화보기를 포기하기 다반수였다. 시사나 다큐, 탐사 프로그램을 즐기는 편이어서 영화 한편 골라 진득하니 스토리에 몰입하기가 드물었다. 시화집 ‘물소리 같았던 하루’ 북콘서트 마치고, 세번째 시문 행사를 어제 마치고, 시카고 디카시연구회 총회를 오늘 마친 후 오랜만에 편안한 마음으로 영화 한편을 마주한다.     세 자녀를 홀로 키우며 생선가게에서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는 Marenda와 대학교수 Bray의 만남은 기적 같은 일들로 채워지고 있었고, 서로의 마음 속에는 행복이라는 꽃 한송이가 피어나고 있었다. 그럼에도 Marenda는 순수했던 Bray의 도움과 친절을 오해하게 되었고 둘은 서로의 길로 다시 헤어지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Marenda는 Bray의 진심을 알게 되었고 그를 그리워하게 되었다. Bray도 Marenda를 추억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그녀를 만나는 기적 같은 일을 꿈꾸게 되었다. 서로의 일상에 충실하면서도 늘 마음에 담아두었던 만남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이루어졌다. 서로의 집으로 찿아가는 길 위에서 둘은 만나게 된다. 처음으로 Marenda는 Bray에게 손을 내어주고 서로를 포옹하며 영화는 끝이 난다.   “나는 어려운 일을 겪게 될 때 화를 내고 그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블레임하였지. 하지만 지금은 아니야. 모든 문제가 클리어 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어. 기적 같은 사랑은 내 눈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기다리고 또 기다려도 외롭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지” Bray의 대사 한 토막이 마음에 울림으로 남는다.   바람은 아직 차지만 매서운 겨울 문턱을 넘어가기 전 어쩌면 포근히 걸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 같다. 언덕길 바로 옆으로 누렇게 물든 갈대와 고개 숙인 억새가 줄지어 나를 반기는 듯 미풍에 살랑거린다. 작은 stream을 따라 오리 가족이 유유히 흐른다. 사실 우리는 순간 순간 기적 같은 시간을 맞이하고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삶이 얼마나 길지는 몰라도 우리 눈에 비쳐 오는 풍경과 사람들은 참으로 경이롭다. 파도같이 밀려왔다 밀려가는 들풀의 춤사위도, 발 밑에 펼쳐 있는 낙엽들의 색과 모양도, 하늘로 뻗은 나무 가지들의 말없는 기도도 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소중한 오늘의 기적이고 축복이다.   어둠이 내린 highway를 달리고 있다. 세상을 살아가는 두 가지 길. 하나는 매일 매일 기적 없는 밋밋한 길을 살아가는 것과 순간마다 특별한 기적을 경험하며 살아가는 또 하나의 길이 펼쳐져 있다는 사실. 우린 오늘 하루도 가슴 뛰는 기적 같은 축복의 순간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마음의 밭을 기경해야 한다. 버릴 것은 버리고 남겨둘 것만 남겨두어야 한다. 오늘 눈에 비쳐오는 모든 순간을 사랑으로. 긍휼함으로, 진실함으로 마음에 담아야 한다. 그리고 기적 같은 그 길을 내 발로 걸어야 한다. (시인, 화가)   신호철신호철의 시가 있는 풍경 기적 대학교수 bray 영화 한편 다람쥐 쳇바퀴

2023-12-04

[신호철의 시가 있는 풍경] 기적

‘The secret dare to dream’이라는 영화 한편을 보았다. “There are only two way to live your life. One is as though nothing is a miracle. The other is as though everything is …”라는 자막으로 시작되는 영화. 이어지는 단어는 a miracle임에 틀림없음에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누구나 기적 같은 삶을 꿈꾸어본 적 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기에. 그럼에도 매일 다가오는 평범한 일상의 모습 속에서 다람쥐 쳇바퀴 돌듯 무미건조한 삶을 살아가기가 일수인 우리에게 잔잔한 교훈을 주는 영화였다. 기적은 거짓 없는 따뜻한 마음과 이웃을 향한 긍휼한 마음으로부터 시작된다. 지나쳐 버릴 수 있는 일상을 사랑의 마음으로 돕고 자신을 희생할 때 어려움에 빠진 한 가족을 아름답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훈훈한 스토리였다.   대부분 처음 몇 장면을 보면 뒤에 전개될 내용들이 어렴풋이 읽혀지기에 다음 장면으로 이어지기 전에 영화보기를 포기하기 다반수였다. 시사나 다큐, 탐사 프로그램을 즐기는 편이어서 영화 한편 골라 진득하니 스토리에 몰입하기가 드물었다. 시화집 ‘물소리 같았던 하루’ 북콘서트 마치고, 세번째 시문 행사를 어제 마치고, 시카고 디카시연구회 총회를 오늘 마친 후 오랜만에 편안한 마음으로 영화 한편을 마주한다.     세 자녀를 홀로 키우며 생선가게에서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는 Marenda와 대학교수 Bray의 만남은 기적 같은 일들로 채워지고 있었고, 서로의 마음 속에는 행복이라는 꽃 한송이가 피어나고 있었다. 그럼에도 Marenda는 순수했던 Bray의 도움과 친절을 오해하게 되었고 둘은 서로의 길로 다시 헤어지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Marenda는 Bray의 진심을 알게 되었고 그를 그리워하게 되었다. Bray도 Marenda를 추억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그녀를 만나는 기적 같은 일을 꿈꾸게 되었다. 서로의 일상에 충실하면서도 늘 마음에 담아두었던 만남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이루어졌다. 서로의 집으로 찿아가는 길 위에서 둘은 만나게 된다. 처음으로 Marenda는 Bray에게 손을 내어주고 서로를 포옹하며 영화는 끝이 난다.   “나는 어려운 일을 겪게 될 때 화를 내고 그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블레임하였지. 하지만 지금은 아니야. 모든 문제가 클리어 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어. 기적 같은 사랑은 내 눈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기다리고 또 기다려도 외롭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지” Bray의 대사 한 토막이 마음에 울림으로 남는다.   바람은 아직 차지만 매서운 겨울 문턱을 넘어가기 전 어쩌면 포근히 걸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 같다. 언덕길 바로 옆으로 누렇게 물든 갈대와 고개 숙인 억새가 줄지어 나를 반기는 듯 미풍에 살랑거린다. 작은 stream을 따라 오리 가족이 유유히 흐른다. 사실 우리는 순간 순간 기적 같은 시간을 맞이하고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삶이 얼마나 길지는 몰라도 우리 눈에 비쳐 오는 풍경과 사람들은 참으로 경이롭다. 파도같이 밀려왔다 밀려가는 들풀의 춤사위도, 발 밑에 펼쳐 있는 낙엽들의 색과 모양도, 하늘로 뻗은 나무 가지들의 말없는 기도도 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소중한 오늘의 기적이고 축복이다.   어둠이 내린 highway를 달리고 있다. 세상을 살아가는 두 가지 길. 하나는 매일 매일 기적 없는 밋밋한 길을 살아가는 것과 순간마다 특별한 기적을 경험하며 살아가는 또 하나의 길이 펼쳐져 있다는 사실. 우린 오늘 하루도 가슴 뛰는 기적 같은 축복의 순간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마음의 밭을 기경해야 한다. 버릴 것은 버리고 남겨둘 것만 남겨두어야 한다. 오늘 눈에 비쳐오는 모든 순간을 사랑으로. 긍휼함으로, 진실함으로 마음에 담아야 한다. 그리고 기적 같은 그 길을 내 발로 걸어야 한다. (시인, 화가)   신호철신호철의 시가 있는 풍경 기적 대학교수 bray 영화 한편 다람쥐 쳇바퀴

2023-12-04

[필향만리] 溫故而知新(온고이지신)

공자는 “예전에 배운 것을 잘 익혀, 새로운 것을 알아간다면 능히 다른 사람의 스승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배우기→익히기→(깨달아) 알기→배우기’의 순환 활동을 평생 정체됨 없이 반복하는 사람이라야 스승 자격이 있다고 본 것이다.   스승이란 먼저 깨달은 사람을 이름이다. 아무리 많이 배우고 익혔어도 새로운 깨달음이 없으면 스승이 될 수 없다.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옛것만 반복한다면 배웠어도 깨달은 게 없으니 가르칠 게 없고, 가르칠 게 없으니 스승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온고(溫故)’, 즉 이미 세상이 나온 지식과 지혜를 배우고 익혀서(而) ‘지신(知新)’, 즉 새로움에 눈을 떠야 한다. 그게 바로 ‘온고이지신’이다. 흔히, 줄여서 ‘온고지신’이란 4자성어로 사용한다. 온고지신의 의지와 노력이 ‘승선계후(承先啓後, 앞의 것을 이어 뒤의 것을 열어나감)’와 ‘계왕개래(繼往開來, 과거를 이어 미래를 개척함)’의 발전을 낳는다. 그러므로 ‘지신’이 없는 ‘온고’는 무의미하고, ‘온고’가 없는 ‘지신‘은 모래성에 불과하다.   ‘溫’은 ’따듯할 온’이자, ‘익힐 온’이다. 따뜻하게 데우는 시간을 들여야 지식이 지혜로 익는다. 익힐 시간이 불필요한 ‘빠른’챗GPT는 모래성 ‘지신(知新)’이다. 빠른 검색보다 익히는 ‘사색(思索)’이 필요한 이유이다. 김병기 /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필향만리 온고이지신 스승 자격 다람쥐 쳇바퀴 순환 활동

2023-06-14

[열린 광장] “그래, 억울이한다니까”

아이들 교육 때문에 떨어져 사는 부부가 있었다. 아내는 아이 셋을 데리고 미국에 살고, 남편은 생활비 대느라 한국에 오가며 지냈다. 아내 혼자서 세 아이 키우는 것도 버거운 이 집에 늦둥이까지 생겼다. 중학교, 초등학교, 유치원에 다니는 세 아이에 갓난아기까지 돌봐야 하는 엄마의 삶은 나날이 지쳐갔다. 가사와 육아 부담에 치인 엄마의 스트레스는 중학교에 다니는 큰딸을 향한 꾸지람으로 이따금 드러났다. 딸은 딸대로 사춘기를 지날 때였다. 예민할 대로 예민해진 딸과 날카로울 대로 날카로워진 엄마의 한판 싸움이 벌어질 때마다 동생들은 숨을 죽여야 했다.     그날도 큰딸이 받아온 성적표를 빌미로 전쟁이 시작됐다. ‘내가 미국 와서 고생하는 것도 다 너 때문인 것 너도 잘 알지, 그런데 성적이 왜 이 모양이냐?’로 시작된 엄마의 꾸중은 방은 왜 안 치우냐, 자기가 먹은 밥그릇은 자기가 좀 갖다 놓으면 안 되냐며 그동안 쌓였던 일까지 들추며 이어졌다.  얌전히 듣기만 하던 딸이 엄마에게 반기를 들었다. 억울하다는 것이다. 엄마는 귀를 의심하며 딸에게 다시 물었다. “억울해?” “그래, 억울이한다니까.” 서툰 한국말이지만, 딸은 분명 억울하다고 했다. 딸의 대답에 엄마의 분노가 폭발했다. “억울하긴 누가 억울해? 네가 억울해? 내가 억울하지”     서러움에 북받친 엄마는 자신의 억울한 이야기를 늘어놓았다. 한국에 있었으면 친구들처럼 편하게 살 수 있는데 미국 와서 고생하는 게 억울했다. 아이들 학교 데려다주려면 갓난아기까지 차에 태우고 나가야 하는 자신의 신세가 억울했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뱅글뱅글 돌며 살아야 하는 자기 처지야말로 억울하기 짝이 없었다.     엄마는 그렇게 한참 동안 눈물 콧물 흘리며 억울한 이야기를 쏟아붓고 나자 딸의 억울한 이야기를 들을 여유가 생겼다. 엄마가 딸에게 물었다. “그래 너도 억울하다니까 뭐가 그리 억울한지 이야기나 한번 들어보자. 그래 너는 뭐가 그렇게 억울한데.”     “엄마 말에 다 억울이한다니까.” 기어드는 작은 소리로 흐느끼며 내뱉은 딸의 말이 수상스러웠다. 잘 들어보니 딸이 한 말은 ‘억울하다니까’가 아니라 ‘억울이한다니까’였다. ‘억울이한다고?’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순간 깨달음이 왔다. 한국말이 서툴렀던 딸은 엄마가 자신을 혼내는 모든 내용을 인정한다는 뜻으로 영어 단어 ‘어그리(Agree)’와 한국말 ‘한다’를 합친 ‘어그리한다’는 말을 악센트를 넣어서 ‘억울이한다니까’라고 답했는데 엄마는 그 말을 ‘억울하다니까’로 들었던 것이다.   아이들을 위해 자기 삶을 헌신하는 그 엄마만, 말이 통하지 않아서 괜한 꾸중을 들어야 했던 그 딸만 억울하지 않다. 이민자로 낯선 나라에 살면서 우리가 당해야 하는 억울한 일도 참 많다. 세상이 억울한 일로 둘러싸인 이유는 나는 부당한 대우를 받으면 안 되는 사람이라는 옹색한 마음 때문은 아닐까?     김수영 시인은 ‘왜 나는 조그만 일에만 분개하는가’라고 물으면서 그 이유를 모래와 먼지처럼 옹졸한 자신 때문이라고 답한다. 내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세상은 온통 억울한 것 투성이가 된다. 가슴을 활짝 열고, 마음을 넓게 펴보자 억울함이 조금은 사그라들 것이다.   이창민 / 목사·LA연합감리교회열린 광장 억울한지 이야기 중학교 초등학교 다람쥐 쳇바퀴

2022-08-2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